Analytics _ korea/etc
[기술적지표 | 차트 기초] 볼린저 밴드(Bollinger Bands) 활용 간단 정리
김 제로
2023. 12. 12. 07:40
반응형

볼린저밴드(Bollinger Bands)란?
■ 정의
- 미국의 재무분석가 존 볼린저 (John A. Bollinger)가 1980년대에 개발한 기술적 분석도구
- 2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주가가 어느정도의 위치에 있는지 알려줌
- 상단선 중심선 하단선 3개의 선으로 나타나며 중심선 수치를 수정하면 상단선 하단선도 변경됨
■ 계산식
중심선: 20일 이동평균선
상단선: 20일 이동평균선 + 표준편차x2
하단선: 20일 이동평균선 - 표준편차x2
> 즉, 볼린저밴드는 평균적인 주가를 중심으로 표준편차의 두배를 더하고 빼서 만들어짐* => 주가가 밴드 안에서 움직일 확률 95%
*볼린저밴드도 정규분포를 따르기 때문에 평균을 중심으로 표준편차의 +-2배 내 변수의 95%가 분포
■ 활용
- 주가 변동성 측정
- 볼린저 밴드의 폭으로 주가 변동성 측정이 가능하다
ex) 밴드 좁아질 때 : 낮은 변동성 / 밴드 넓어질 때 : 높은 변동성
- 주가 반전 시그널
- 주가가 상한선에서 아래로 향하면 하락 가능성 / 하한선에서 위로 향하면 상승 가능성
- 과매수, 과매도 상태 식별
- 주가가 상단 밴드 근처에서 움직이면 과매수 상태 그 반대이면 과매도 상태
- 과매수 상태에서는 주가 하락 가능성 높음, 과매도 상태에서는 주가 상승 가능성 높음
- 추세 분석
- 중심선(이동평균선)은 주가의 중장기 추세를 나타냄
ex) 주가가 중심선보다 위 : 상승 추세 / 주가가 중심선보다 아래 : 하락 추세